본문 바로가기

치과에 관련된 일본어/치과의 현실 in Japan

일본에서 활동하는 치과의사는 과연 얼마를 벌까? Part 1. 페이닥터의 급여(勤務歯科医の給料)

반응형

일본에서는 치과보다 편의점이 많다, 일본 치과의사는 급여가 낮으며, 더 이상 메리트가 없는 전문직에 속한다 등등의 이야기를 들어보신 분들이 어느 정도는 계실 겁니다.

일본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는 저로서도, 대략적으로 우리나라보다 일본 치과의사의 급여가 짜다라는 정도로만 알고 있었지, 구체적으로 일본 치과의사가 얼마 정도를 벌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제대로 파악하지 않았습니다... ^^;;

그래서 이번엔 일본치과의사회와 일본 후생노동청이 조사한 통계 내용을 바탕으로, 일본 치과의사가 과연 얼마나 벌고 있는지?에 대해 소개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Part 1에서는 치과의원에 고용되어 근무하는 페이닥터의 급여에 대해 알아봅시다!
일본치과의사회가 작성한 통계 그래프를 아래에 첨부했습니다.

5가지 조사 형태에 따라 달라지는 일본 치과 페이닥터의 월급, 연도별로 정리. 출처는 日本歯科医師会の歯科口腔保健・医療の基本情報「現在を読む」


2007년부터 2015년까지의 페이닥터의 급여 변화입니다.
참고로 올해가 2023년이므로, 2022년까지의 일본 페이닥터 급여의 변화를 알 수 있었으면 좋았을 텐데...
저의 검색 능력의 한계 탓인지 최신 버전의 내용을 찾아볼 수가 없었네요 ㅎㅎ
아쉽습니다...

어쨌든, 우선 위 그래프에 나온 일본어 문장을 좀 해석해 보겠습니다.


그림 3-16 근무 치과의사의 월급 (세금 포함)
주의) 의료 경제 실태 조사의 2009년과 10년, 2011년과 12년, 2013년과 14년은 동일 조사 객체이다.

(하늘색 네모칸, 첫 번째 막대그래프) 의료 경제 실태 조사 (치과 진료소 개인)
(주황색 네모칸, 두 번째 막대그래프) 의료 경제 실태 조사 (치과 진료소 의료 법인)
(회색 네모칸, 세 번째 막대그래프) 의료 경제 실태 조사 (일반 병원 전체)
(노란색 네모칸, 네 번째 막대그래프) 임금 구조 기본 통계 조사 (기업 규모 10인 이상)
(파란색 네모칸, 다섯 번째 막대그래프) 직종별 민간 급여 실태 조사 (사업소 규모 50인 이상)



이제 본격적으로 위 그래프에 대한 해석과 개인적인 의견을 밝혀보겠습니다 ㅎㅎ


① 연도에 따른 월급의 평균은?

● 대략적으로 2010년 기준으로, 100엔 = 1100원으로 환산하여 아래와 같이 나타냈습니다.


ⓐ 45.7만엔 (502.7만원)
ⓑ 53.025만엔 (583.3만원)
ⓒ 85.6625만엔 (942.3만원)
ⓓ 53.8334만엔 (592.2만원)
ⓔ 78.2333만엔 (860.6만원)


ⓒ > ⓔ > ⓓ ≒ ⓑ > ⓐ의 급여 순서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 이 중 ⓐ 치과의사 개인이 운영하는 치과 진료소에서 일하는 페이닥터의 급여가 가장 짭니다 ㅎㅎ
→ ⓒ와 ⓐ를 비교하면 급여의 차이가 상당히 나네요...

→ 手取り (실수령액)이 아니라 税込 (세금 포함)의 월급이라는 것 참고하세요.

참고로 치과 진료소(歯科診療所)는 쉽게 말해 우리가 흔히 말하는 소규모 치과의원을 의미합니다.
일본에서는 덴탈 클리닉(デンタルクリニック)이라는 간판이 더 보이기도 하는데, 사실은 모두 같은 의미입니다.
즉 歯科医院 (치과의원)=歯科診療所 (치과 진료소)=デンタルクリニック (덴탈 클리닉)으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 치과의원 간판, ㉯ 치과진료소 간판, ㉰ 치과 클리닉 간판. 구글 검색에서는 ㉯ 치과진료소 간판 이미지를 찾기 힘듬... 일본에서는 ㉰ 치과 클리닉 혹은 덴탈 클리닉으로 쓰여진 간판이 가장 많은 듯함. 출처는 ㉮, ㉯ 의 경우 【ホームメイト】大森歯科診療所:写真 (doctor-map.info). ㉰는 photo-ac.com.

 

② 급여의 차이가 이렇게 나는 이유는? 경영 규모의 차이!

● 우선 월급 액수에 따라 3가지 그룹 (ⓐ 월급 45만엔 / ⓑ, ⓓ 월급 53만엔 / ⓒ, ⓔ 월급 82만엔) 으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 참고로 치과 진료소 개인 < 치과 진료소 의료 법인 < 일반 병원 순으로 의료 시설의 규모가 커집니다.

→ 이런 점을 바탕으로 ⓐ / ⓑ, ⓓ / ⓒ, ⓔ 등 월급 액수로 분류한 기준은 의료 시설의 규모와 비슷한 흐름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위 그래프가 나온 歯科口腔保健・医療の基本情報「現在を読む」에서도, 경영 규모가 클수록 페이닥터의 급여가 높아진다고 추측하고 있다는 언급이 있습니다.


③ 병원에 근무하는 치과의사의 급여가 높은 이유?

● 규모가 큰 병원급은 의원에 비해 매우 상당히 적고, 이는 곧 희소성으로 귀결됩니다.
● 페이닥터의 몸값, 특히 치과의사의 경우는 할 수 있는 진료의 범위, 진료의 숙달도, 환자 케어 능력 등 여러 요소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진료한 기간, 즉 연차가 높아져야 높은 페이를 받을 수 있습니다.
● 고난도의 환자가 찾는 의료기관은 의원이 아니라 병원일 가능성이 상당히 높기에, 병원에 근무하는 치과의사는 높은 연차의 능숙한 베테랑일 가능성이 큽니다.


사실 이 자료에서 주 근무 시간, 복지 등등 중요한 팩터는 쓰여있지 않아서, 우리나라와 비교하기에는 좀 애매한 경우가 있으므로, 일본 치과 페닥은 이 정도 선에서 월급을 가져가는구나! 라고 생각하시는 것이 좋을 거 같습니다 ㅎㅎ

 

 

 

cf) 게시 완료 직전에 글이 날아갈 뻔했네요;;; 다행히도 잘 해결되었습니다.

 


이번 주제에 관한 단어입니다.

 

勤務歯科医(きんむしかい): 치과 페이닥터 (일본에서는 근무 치과의사라고 표현)

給料(きゅうりょう): 급여, 급료

月給(げっきゅう): 월급

お金を稼ぐ(おかねをかせぐ): 돈을 벌다

税込(ぜいこみ): 세금 포함, 세전

手取り(てどり): 세후 급여, 실수령액

診療所(しんりょうしょ): 진료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