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Part 1에서 ワンルーム、1K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어서 이번 Part 2에서는 1DK、1LDK、2LDK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DK、 1LDK、 2LDK 등은 일본의 マンション, 즉 우리로 따지면 아파트에 들어가는 개념입니다... 3LDK나 4LDK 등은 넓은 マンション이나 일본의 단독 주택에 나타나는 경향이 크고요.
다만 1DK는 일본의 고급 アパート에서도 보이긴 하는데요, 우선은 マンション에 있는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우선 1DK에 관해서...
① 1DK (위 이미지)
: 주방과 다이닝 공간이 확보되며, 1개의 독립된 방이 존재하는 구조입니다.
: 1R、1K와 다르게, 1DK의 화장실은 ユニットバス가 아니라 トイレ、お風呂로 분리되어 있습니다.
: 1K보다 평수가 크므로, 1DK부터는 신혼부부 등 2명이 살기 딱 좋은 공간이기도 합니다.
: 위 이미지에서는 床下収納라고 해서, 마루 밑에 수납 공간이 따로 있네요 ㅎ 좋은 공간의 절약입니다.
다음은 1LDK와 2LDK에 대한 이미지입니다.
② 1LDK (왼쪽 이미지)
: 주방과 다이닝 공간, 거실이 확보되며, 1개의 독립된 방이 있는 구조입니다.
: 1DK보다 더 커진 공간이 보이며, 부모 및 미취학 아동 1~2명 정도가 살기에 딱 좋습니다.
: 드라마나 만화, 애니메이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스타일입니다.
③ 2LDK (오른쪽 이미지)
: 기존 1LDK 구조에 1개의 독립된 방이 추가된 형태입니다.
: 1LDK보다 크며, 부모 및 초, 중, 고등학생 1~2명이 살 수 있는 구조입니다.
: 사실 자녀가 2명인 경우 3LDK가 좀 더 적당할 수 있지만, 여러 상황 때문에 2LDK에 거주하는 경우 큰 방을 자녀 2명이 같이 쓸 수는 있습니다.... 위 오른쪽 이미지처럼 2층 침대를 활용하면 충분히 책상 및 의자 2개를 놓을 수 있고, 취침 공간도 확보가 되네요 ㅎㅎ
기타 3LDK、4LDK 등은 기존 LDK에 독립된 방이 3개, 4개 등으로 추가되는 개념입니다.
다만 1개의 층 (단층)만 사용하는 マンション에서 3LDK, 4LDK 구조가 적용되면, 아무래도 집값이나 임대료가 비싸지므로 보통 경제성을 위해 단독 주택에 3LDK、4LDK가 적용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한정된 땅 공간에 2층이나 3층을 건축하면 그만큼 공간 확보가 용이하니까요 ㅎ
예를 들어 25평 크기의 땅을 사서 이 위에 3층짜리 단독 주택을 짓는 경우라면, 이론적으로 25 (평) x 3 (층) = 75평의 공간이 생깁니다... 물론 실거주 공간은 75평보다 당연히 작아질 것이고, 특히 일본의 경우 한국과 다르게 차고지 증명이 되어야만 차를 구매 및 이용할 수 있으므로 1층에는 주차 공간을 따로 확보를 해야 하는데, 그래도 25평 크기의 땅만으로도 충분히 3LDK、4LDK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일본의 방 구조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았는데요, 다음 파트에서는 한국에서 아직 적용되지 않고 있는 일본의 차고지 증명 및 그에 관련된 내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ㅎㅎ
우리나라의 제주도에서 차고지 증명을 시행하고 있는 것을 깜빡했습니다 ㅎㅎ;
이번 파트에서 생각해 볼 만한 단어입니다.
~に対(たい)する、~に関(かん)する : ~에 대한, ~에 관한 (같은 의미로 외워두면 편합니다)
2人(ふたり)なら余裕(よゆう)なスペース : 2명이라면 여유로운 공간
床下(ゆかした): 마루 밑
収納(しゅうのう): 수납
新婚(しんこん): 신혼
夫婦(ふうふ): 부부
見(み)える : 보이다
暮(く)らす : 살다, 거주하다
ピッタリ : 딱, 알맞게
よくある : 자주 있는
未就学児(みしゅうがくじ): 미취학 아동
適当(てきとう): 적당
二段(にだん)ベッド : 2층 침대
机(つくえ): 책상
椅子(いす): 의자
及(およ)び : ~ 및
建築(けんちく): 건축
もちろん : 물론
充分、十分(じゅうぶん): 충분
駐車(ちゅうしゃ): 주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