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치과에 관련된 일본어/궁금증을 풀어 주는 치과 상식

잇몸에 구멍이 났는데, 여기에서 씁쓸한 맛이 느껴져요... Part 2. 누공이 발생한 원인 부위를 찾아내는 방법(瘻孔が発生した原因の部位の見つけ方)

반응형

저번 Part 1.에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누공이 발생한 원인 부위를 찾아낼 수 있어야, 그에 따른 치료 방법이 결정되는 것은 당연한 이야기인데요.

보통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습니다.

 

 

㉮ 거타퍼챠 콘 (Gutta Percha cone, GP cone)을 누공에 삽입

 

거타퍼챠 콘 (GP cone)이라는 치과용 재료가 있습니다.

치과 관계자가 아니시면, 이 재료는 매우 생소하게 느껴지실 건데요...

 

흔히 근관치료 (신경치료) 시 제거되는 치아 뿌리 내 신경 및 혈관을 대신하는, 인공 치아 신경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 재료는 아래 이미지와 같이, 살구색의 고무 재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왼쪽 이미지) 살구색의 고무 재질을 가지는 GP cone. F1에서 F5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함. 출처는  Amazon.com: Gutta PERCHA Accessory FI-FI : Industrial & Scientific. (오른쪽 이미지) 본인이 근관치료 (신경치료)시 자주 쓰고 있는 브랜드의 GP cone. 숫자가 증가할수록 GP cone의 두께가 증가함. 자세한 이야기는 근관치료 Part에서 설명할 기회가 있을 것임. 출처는 Dia-ProISO GT Gutta Percha(mm-Marked) - (.04/.06 Taper) – DiaDent.

 

 

통상적으로 숫자가 클수록 GP cone의 두께도 증가하며, 그만큼 휘어지는 변형 정도도 적어지게 됩니다.

보통 형성된 누공에 이 GP cone을 넣을 때, 너무 얇은 두께의 GP cone일 경우 휘어져서 누공의 원인 부위까지 도달되기 힘든 경우도 있으므로...

 

저는 보통 F2 ~ F3나 25번 or 30번 GP cone을 사용합니다. 

(참고로 신경치료 마무리할 때에도 저는 이 정도 두께의 GP cone을 사용합니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GP cone tracing이라고 합니다.

이 방법은 구강 내 누공뿐만 아니라 구강 외 누공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아래 이미지와 같습니다.

 

(왼쪽 이미지) 구강 내 누공에 적용한 GP cone tracing. 다만 이것만 가지고는 어떤 치아가 누공의 원인인지는 알기 어려움. 출처는 Sinus tract (ubc.ca). (오른쪽 이미지) 구강 외 누공에 적용한 GP cone tracing. 방사선 사진도 같이 있어야 누공 원인이 되는 치아를 알 수 있음. 출처는 https://images.app.goo.gl/k8g5DWDSqwc5hnfa8. (Facebook)

 

 

㉯ PA (Peri-Apical X-ray, 歯根端X線)도 같이 촬영되어야 함

 

GP cone tracing에 성공했다고 해도, GP cone이 누공 안에 존재하는 어떤 해부학적 구조물 근처로 들어가는지는 육안으로 알 수 없습니다.

 

바로 위의 왼쪽 이미지와 같이, 누공을 발생시킨 원인이 되는 치아가 첫 번째 작은 어금니인지, 두 번째 작은 어금니인지 GP cone 삽입만으로는 알기가 어렵죠...

 

 

그러므로 필연적으로 방사선 사진 촬영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바로 2023년 5월쯤에 제가 포스팅했던 '치과용 방사선 장치'에 언급된 PA를 이용하면 되는데요.

 

잘 모르시는 분은 아래 링크 들어가서 읽어보셔요 ㅎ

 

 

방사선 피폭이 무서워서 그러는데... 치과 검진할 때 X선 촬영을 안하면 안 될까요? Part 3. 치과용

안녕하세요. 이번 주제의 마지막 Part인데요. 저번 시간에 치과용 방사선 장치에 대해 언급만 하는 수준으로 알아봤습니다. 다시 언급하자면 치과용 방사선 장치에는 크게 CBCT, Panorama, PA 등 3가지

ccworld99.tistory.com

 

 

한번 다음과 같은 케이스의 사진을 참고해 봅시다.

출처는 아래와 같습니다.

[PDF] Sinus tracts from proximal roots with infected root canals ─ ─ cases report | Semantic Scholar

 

 

 

 

A: 왼쪽 아래 어금니 부위의 잇몸에 누공이 생겼습니다.

- 이 사진만 봤을 때에는 마치 첫 번째 큰 어금니가 누공의 원인으로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B: 해당 부위의 PA 사진입니다.

- 삽입된 GP cone의 끝 부분 위치를 주목하세요. (방사선 투과상이 관찰됨)

- 누공의 원인이 되는 치아가 첫 번째 큰 어금니이기보다는, 그 앞에 있는 작은 어금니임을 알 수 있습니다.

 

- 다만 뿌리 끝 방사선 투과상 (병소)의 양상으로 볼 때, 살짝 이 병소가 첫 번째 큰 어금니의 뿌리 끝 부분까지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기타 임상 검사를 안 한다는 가정 하에서 위의 결과로만 (중요!) 진단할 때, 아래와 같이 치과의사마다 살짝 치료 방향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사실 기타 임상 검사를 해 보면 치료 방향이 달라질 여지는 거의 없어집니다만...)

 

 

Option 1 : 작은 어금니 신경치료

Option 2 : 작은 어금니 + 첫 번째 큰 어금니의 신경치료

 

 

C: 작은 어금니의 신경치료 (근관치료) 후의 사진입니다.

- 본 케이스의 치과의사는 Option 1로 치료 방향을 선택했고, 개인적으로 저도 이 치료 방향을 선택할 것 같습니다.

- 육안으로 볼 때, 누공이 사라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D: 신경치료 (근관치료)의 PA 사진입니다.

- 작은 어금니 뿌리 부분에 GP cone (인공신경)이 잘 들어갔고, 상방의 Core 마무리도 잘 된 듯싶습니다.

- 방사선 투과상 (병소)이 정상으로 돌아온 듯하며, 다행히 첫 번째 큰 어금니 뿌리 끝에 걸쳐있던 병소도 없어진 듯합니다.

 

 

다음 Part 3.에서는 좀 더 다양한 케이스를 가지고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번 시간의 일본어 표현입니다.

 

探す(さがす): (육안으로) 찾다 cf) 見付ける와 뉘앙스 구별 필요

探る(さぐる): (모르는 것을 손 등의 감각으로, 혹은 진실 등을) 찾다

見付ける(みつける): 찾아서 발견하다 (단순히 찾다의 개념이 아님)

見慣れない(みなれない)、疎い(うとい): 생소하다, 잘 모르다

ゴム : 고무

ガム : 껌

ヌードカラー、杏色(あんずいろ): 살구색

曲がる(まがる): 휘어지다

たわわに : 주렁주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