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치과에 관련된 일본어/궁금증을 풀어 주는 치과 상식

치과 치료 받을 때, 무통 마취기로 마취하면 안 아프다고 하는데 사실인가요? Part 1. 국소 마취의 원리 (局所麻酔の原理)

반응형

안녕하세요^^

 

짧은 가을이 지나가고, 추운 겨울이 다가오는 듯합니다...

모두 감기 조심하시고요.

 

이번 포스팅의 주제를 뭐로 할지 고민하다가, 치과 치료에 있어서 첫 단계 관문이라 할 수 있는 마취에 대해 이야기를 하면 어떨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치과 치료 전에 치과의사가 마취 주사를 놓으려고 하는 컨셉의 이미지. 출처는 photo-ac.com.

 

 

만약 마취 없이 치과 치료를 들어가게 된다면......

아마 가뜩이나 아픈 환자를 더 아프게 하는, 실력이 안 좋은 치과로 소문나겠죠? ㅎㅎ

그만큼 치료 전 마취는 매우 중요합니다.

 

 

참고로 치과마취학 전공이 치과대학 내에 따로 있을 정도로, 치과 영역에서의 마취에 관한 내용은 방대합니다만...

제 블로그에서 마취에 대한 내용을 엄청 자세하게 언급하지는 않을 거예요.

 

다만 환자의 입장에서 궁금할 수 있는 부분을 몇 가지 정도 언급하고자 합니다. ㅎㅎ

 

 

㉮ 국소 마취의 의미?

 

보통 치과 영역에서의 마취는 대부분 국소 마취로 이루어집니다.

의식하 진정이나 전신 마취도 치과 치료에 활용되나, 이 부분은 현시점에서 더 자세하게 언급하지는 않을게요.

 

국소 마취는 일본어로 局所麻酔(きょくしょますい)라고 합니다.

영어로는 Local Anesthesia (LA)라고 표현하고요.

 

눈치 빠른 분은 아시겠지만, 局所Local이라는 표현은 특정 부분에 한정된다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즉, 국소 마취는 우리 몸 특정 부위에만 마취가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겠죠 ㅎㅎ 

 

 

㉯ 국소 마취의 원리?

 

말 그대로 국소 마취는 우리 몸 특정 부위에 있는 신경을 일시적으로 마비를 시키는 것인데요.

그렇다면 과연 어떤 원리로 신경의 일시적 마비가 일어나는 것일까요?

 

아래 메커니즘 모식도를 참고해 주세요.

약간 어려운 내용일 수도 있습니다 ㅎㅎ;;;

 

 

 

 

위 모식도와 같이, ① ~ ③ 등 3가지로 나누어서 설명하려고 합니다.

(출처는 局所麻酔の歴史について | 静岡美容外科 橋本クリニック 院長ブログ (hashimotoclinic.co.jp))

 

① 뇌(脳)나 신경(神経), 골격근(骨格筋) 세포에서의 탈분극 (脱分極)

: 탈분극은 신경 신호의 전달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로 생각하면 됩니다.

→  즉, 이런 탈분극 환경 하에서는 통증 등의 반응이 느껴지는 상황이겠죠?

 

: 세포막 밖에 있는 Na+가 세포막에 붙어 있는 특정 통로 (Na+ 채널)를 통해 세포 내로 들어오게 되면 탈분극이 발생, 신경 신호가 전달됩니다.

 

② 국소마취제 (LA)의 형태

: LA는 프로카인(プロカイン), 리도카인(リドカイン), 부피바카인(ブピバカイン)등이 있습니다.

→ 치과 영역에서는 리도카인이 가장 널리 쓰입니다...

 

: LA는 분자형태(分子型)이온형태(イオン型)등 2가지 형태로 평형을 이루는데, 쉽게 말해 이온형태는 분자형태에 양이온 (+)이 첨가된 것으로 생각하면 편합니다.

→ 분자형태 100%, 이온형태 0% 등과 같이 극단적으로 어떤 한 가지의 형태만 존재하는 경우는 없다는 걸 아셔야 합니다.

 

: 참고로 이온형태분자형태보다 우세한 경우는, 세포 밖에서의 산성도 (pH) 등이 높을 때 발생합니다.

이 부분은 아마 Part 3에서 중요하게 언급될 듯합니다ㅎㅎ 기억해 두시길...

 

 

③ 세포 내부에 이온형태의 국소마취제가 얼마나 많은가에 따라 마취 효과가 결정됨!

: 세포 외부에서 세포막을 통과, 세포 내부로 들어오는 국소마취제의 형태는 분자형태입니다.

이온형태가 아님을 주의해야 합니다.

 

: 하지만 이 분자형태는 세포 내부에서도 이온형태와 같이 어느 정도의 평형을 이루며, 이 이온형태가 세포막에 붙어 있는 Na+ 채널의 세포 내부의 부분에 결합, 세포 내부로 Na+ 유입을 차단하게 됩니다.

→ 이온형태의 국소마취제가 Na+ 채널의 세포 밖 부분에 결합하는 것이 아님을 생각해야 합니다...

 

: 즉 앞에서 언급한 탈분극이 이온형태의 국소마취제에 의해 억제, 신경 전달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해당 부위의 마비가 일어나게 되며, 이는 곧 국소마취의 효과가 발생했음을 의미합니다.

 

 

㉰ 치과 마취 주사의 구성 요소

 

마취 주사침과 마취 주사기, 국소마취제 앰플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간단하게 사진 정도만 언급하겠습니다 ㅎㅎ

 

 

ⓐ 마취 주사침

 

(왼쪽 이미지) 치과용 마취 주사침. 의과용 주사침보다 얇음. 출처는  200Pcs Dental Endo Irrigation 30GA Fushing Root Syringe Tips 2Holes Irrigator eBay. (오른쪽 이미지) 흔히 내과에서 보는 주사기 및 주사침. 치과용 주사침에 비해 두꺼운 것을 알 수 있음. 출처는 photo-ac.com.

 

 

ⓑ 마취 주사기

 

(왼쪽 이미지) 전형적인 치과 마취주사기. 출처는  Anesthesia Self Aspirating Syringes Cartridge Dental Aspirated Syringe Range CE eBay. (오른쪽 이미지) 본 포스팅의 제목에서 언급된 무통 마취주사기. 출처는  Amazon Lekoc 口腔無痛局所麻酔注入器 電動麻酔器 エアチャック.

 

 

ⓒ 국소마취제 앰플

 

치과 마취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리도카인 및 아티카인. 출처는  발현 빠르고 부작용 없다는 평가 < 스포트라이트 < 장비와 재료 < 기사본문 - 덴탈포커스 (dentalfocus.co.kr).

 

 

다음 Part 2에서는 본 포스팅 제목에 언급된 무통 마취기에 관련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마취를 되도록 안 아프게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번 시간의 일본어 표현입니다.

 

無痛(むつう): 무통, 통증 없음

麻酔(ますい): 마취

局所(きょくしょ): 국소, 국부

脳(のう): 뇌

神経(しんけい): 신경

骨格筋(こっかくきん): 골격근

細胞(さいぼう): 세포

脱分極(だつぶんきょく): 탈분극

針(はり): 침 (Needle)

注射器(ちゅうしゃき): 주사기